러셀 자서전 (상)
버트런드 러셀은 1872년에 태어나 1970년에 숨졌다.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듬해에 태어난 그는 98년 일생 동안,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핵무기 개발과 사용, 베트남 전쟁과 같은 격렬한 정치 사회적 변동과 정신분석학, 통계학 등 현대 학문의 탄생을 아주 가까운 곳에서 지켜봤다. 이
격동의 시대를 한 세기 가까이 살아낸다는 것도 보통 사람에겐 기대하기 힘든 일이지만, 그의 업적에 이르면 누구나 입이 벌어질 수밖에
없다.분석철학의 초석을 놓은 철학자였고, 세계적인 연대 활동에 뛰어든 정치가였으며,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에세이스트였다. 숱한
철학자들이 러셀의 영향을 받았지만, 러셀주의자라는 단어는 없다. 현대철학자라면 기호논리학, 분석철학과 무관할 수 없다. 게다가, 이 책에서도
여실히 드러나지만, 때론 오만하기까지 한 이 무신론자의 자신만만하며 쾌활한 뒤집어 보기, 들여다 보기는 모든 철학자들의 기본 소양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굳이 말하자면, 현대철학자들은 모두 반쯤은 러셀주의자들이다.
버트런드 러셀은 1872년에 태어나 1970년에 숨졌다.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듬해에 태어난 그는 98년 일생 동안,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핵무기 개발과 사용, 베트남 전쟁과 같은 격렬한 정치 사회적 변동과 정신분석학, 통계학 등 현대 학문의 탄생을 아주 가까운 곳에서 지켜봤다. 이 격동의 시대를 한 세기 가까이 살아낸다는 것도 보통 사람에겐 기대하기 힘든 일이지만, 그의 업적에 이르면 누구나 입이 벌어질 수밖에 없다.
분석철학의 초석을 놓은 철학자였고, 세계적인 연대 활동에 뛰어든 정치가였으며,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에세이스트였다. 숱한 철학자들이 러셀의 영향을 받았지만, 러셀주의자라는 단어는 없다. 현대철학자라면 기호논리학, 분석철학과 무관할 수 없다. 게다가, 이 책에서도 여실히 드러나지만, 때론 오만하기까지 한 이 무신론자의 자신만만하며 쾌활한 뒤집어 보기, 들여다 보기는 모든 철학자들의 기본 소양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굳이 말하자면, 현대철학자들은 모두 반쯤은 러셀주의자들이다.
이 자서전은 각 장마다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러셀 자신이 쓴 회고와 편집자가 수집해서 넣은 편지글이다. 기억할 수 있는 가장 어린 시절을 회고해 내는 것으로 자서전을 시작한 러셀은 할 수 있는 한 가장 세세한 부분까지 기억해내어 써두었다. 독자는 그가 언제 처음으로 키스를 했는지 알 수 있으며, 네 차례에 걸친 결혼생활의 내밀한 부분까지 엿볼 수 있다.
이 내밀한 고백이 특별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그가 살아온 인생이 남다른 데에 원인이 있다. 이를 테면, 그가 친구 험담을 살짝 한다면, 그것은 화이트헤드에 대한 이야기다. 세상에 드러나는 화이트헤드의 모습은 차분하고 합리적이고 사려 깊고 분별이 있었으나, 그를 깊이 아는 사람들은 그것이 겉모습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았다. 자제력 강한 사람들이 흔히 그러하듯, 그는 온건하다고 보기 힘든 충동들로 고생하고 있었다
또, 여행 중에 만난 사람에 대해 몇 마디 한다면, 레닌과 한 시간 동안 대화한 후 나는 약간 실망을 느꼈다. 애초에 그를 대단한 사람으로 생각한 것은 아니었으나, 얘기를 나누다 보니 그의 지적 한계가 뚜렷이 느껴졌다
아인슈타인, 에리히 프롬과 국제적 연대 활동에 대해 논의하는 편지나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작업을 평가하고 두둔하는 편지글, 카르납, 콰인, 펄 벅, 주은래 등 셀 수 없이 많은 지난 세기의 거인들과 나눈 편지를 들여다 보는 것은 러셀의 회고를 읽는 것만큼이나 즐거운 일이다.
버트런드 러셀은 어떤 의미에서, 20세기를 대표하는 진정한 의미의 개인이다. 이 개인은 놀라운 지성과 실천 의지로 자신의 인생을 살아왔고, 특유의 반성적 태도로 자신의 인생을 정리해 두었다. 독자들은 러셀을 통해 20세기 지성사의 중심으로 뛰어든다. 그의 회고와 일기, 편지글에서 통찰과 함께 특유의 유머와 낙관을 만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돌아보는 지난 세기 곳곳에서, 놀랍게도 희망을 발견할 것이다.
제1부
프롤로그는 나는 무엇을 위해 살아왔나
제1장 유년기
제2장 청년기
제3장 케임브리지의 시절
제4장 약혼
제5장 첫 결혼
제6장 수학원리
제7장 다시 케임브리지로
제2부
제8장 제1차 세계대전
제9장 러시아
제10장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