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1세기 민족주의


사실 이 책을 엮은 21세기 민족주의포럼에서 중남미 민족주의 관련해 발제하고 강연을 한 적이 있다.그 포럼의 결과물이 책으로 나온다는 얘기를 듣기는 했는데 직접 책으로 읽으니 무척 반갑다정수일, 강철구, 정영철, 이계환, 노용석, 정해랑, 민경우, 김치관, 유영호, 전상봉 등 학계와 실천 현장에서 오랜 경륜을 쌓은 분들이 풀어내는 민족과 민족주의 얘기는 참으로 값지다.민족이란 상상의 산물이라면서... 일언지하에 거부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함께 살아왔다는 사실... 그 삶이란 그렇게 가벼운 것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민족과 민족주의는 여전히 중요하고 의미있다.
민족과 민족주의에 관한 담론을 민족론으로 통칭하면서, 그 재생적 담론을 시도한다. 여기서의 재생적이란 무지와 오해, 남용과 악용으로부터의 민족론의 복원적 재생, 촌것으로 몰려 퇴조와 포기되어 가는 민족론의 구원적 재생, 전가의 보검이 아니라 동네북으로 전락하고 있는 민족론의 계승적 재생을 함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 재생적 담론의 초점은 한국에서의 민족과 민족주의에 관한 담론에 맞췄다.

1부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민족과 민족주의, 그 재생적 담론.정수일
민족주의 이론과 유럽 중심주의.강철구
마르크스주의와 민족.민족주의.정영철
북한의 민족론과 민족주의.이계환
종족집단에서 민족국가로의 연속성.노용석

2부 우리 민족과 민족주의
현대사를 통해 본 민족주의와 반민족주의.정해랑
진보진영의 탈민족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민경우
뉴라이트의 민족과 비판.김치관
다문화시대, 탈민족 담론에 대한 비판.유명호
한국사회의 변화와 21세기 민족주의.전상봉
미국주도의 일극 질서와 민족 문제.민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