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어시간에 생각키우기


딱 안성맞춤인 책이다. 비교적 짧으면서 좋은 글. 학생들이 생각이라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글들의 모음집이다. 좋은 책 중에서 좋은 대목들만 가려 실어 놓았다고 보면 된다. 짧은 글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그 글이 실린 저자의 본 책을 구해 읽으라고 권할 수도 있으니 여러 모로 활용도가 있겠다. 내가 직접 글을 쓸 수 없으니 좋은 글을 보면 마음이 먼저 달려 가고 손으로 붙잡아 놓게 된다. 그 글로 학생과 함께 읽고 생각을 나누고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일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에는 좋은 글이 참 많기도 할 텐데, 내가 다 읽어 내지 못하는 것도 안타깝고, 구해서 권했는데 학생들이 내 기대 이하로 반응하지 않을 때도 안타깝다. 내가 좋으니 너도 좋아해야 한다 고, 적어도 글을 읽는 일에 있어서만큼은 학생들에게 강요를 하고 있는데, 가끔은 이 일에도 회의가 생긴다. 계속 이렇게 강요를 해도 괜찮은 건가. 이 책 속의 글 한 편, 서재호의 책읽기는 밥이다 를 본다면 강요하는 게 포기하는 것보다 분명히 나은 일이라는 격려를 얻을 수 있기는 하지만. 학생 혼자 읽어 보라고 하면 읽지 않을 것이고, 선생님과 함께, 혹은 동아리에서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좋은 자료집이라는 것. 응원한다.
선생님들이 고른, 학생들과 토론하기 좋은 글 모음집

‘국어시간에 읽기’ 시리즈는 전국의 여러 교실에서 오랫동안 선생님과 아이들이 함께 울고 웃으며 읽은 작품들을 담고 있다. 어린이 책과 어른 책 사이에서 건져 올린, 중학생들에게 쉽게 읽히면서도 문학의 재미와 글의 매력을 흠뻑 느낄 수 있는 작품들을 모았다. 아이들이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공감할 수 있는 최고의 읽을거리들을 현장 국어 교사들이 직접 뽑아 담았다.

이 책에는 중·고등학생들이 읽고 토론하기 좋은 글 32편과 학생들이 글을 읽으면서 스스로 생각을 키워 갈 수 있는 다양한 활동거리가 담겨 있다. 요즘 학생들의 호기심을 끌 만한 주제를 골라 그 주제를 잘 담아내고 있는 바탕글을 실은 다음, 바탕글마다 활동거리를 마련해서 학생들이 더 깊이 고민하면서 생각을 키워 갈 수 있게 했다. 자기 정체성, 연애, 소통, 가족 같은 ‘나’의 문제부터 독거노인, 이주 노동자, 다문화가정 같은 소외된 이웃들의 이야기까지, 또 차별, 장애인, 빈곤 같은 우리 사회의 문제와 채식, 로드킬, 토종 씨앗, 막개발 같은 환경 문제와 과학 기술에 관한 이야기, 역사, 문화에 관한 이야기까지, 다양하고 재미있는 읽을거리와 활동거리가 가득하다.


‘국어시간에 읽기’ 시리즈를 내면서
여는 글

1부 - 나와 나를 둘러싼 관계들
난 내가 마음에 들어 _한비야
우린 지금 사랑을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나이 _인터넷뉴스 바이러스
나와 구두의 관계 _안도현
우리 형 _조재도
빈 나무의 마음 _공선옥

2부 - 함께 살아가야 할 이웃들
까칠한 녀석, 요한이의 촌철살인 _윤정희
1000원짜리 밥집 이야기 _송성영
고물 줍는 노인 _박영희
고통 받는 이웃, 이주노동자 _전국사회교사모임
하인즈 워드 신드롬과 한국의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 _한국염
탈북자로 살아간다는 것 _최금희

3부 - 인권,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
메리 베스 팅커 _제인 베델
아니, ‘백인’이 뭐가 좋다고 이러는가? _박노자
보이기는 싫어도 보고 싶다 _오창익
살아 있는 비너스 _서해경, 이소영
내가 음성다중을 좋아하는 이유 _권혁범
가난으로 빚은 빵, 진흙 쿠키를 아시나요? _MBC 〈W〉 제작팀
최저임금은 받고 일해야 한다 _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그날, 박태환과 장미란이 사회를 본 사연 _정희준

4부 -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
채식주의자의 이야기 _조상우
토종 씨앗의 행방불명 _박경화
로드킬 _우석훈
대한민국 자연성형사 _최병두
냉장고 ‘윙윙’거리는 소리에 얽힌 사연 _강양구
게임이론이 세상을 바꾼다 _박일한
과학은 놀라는 능력이다! _박성관

5부 - 우리가 알아야 할 역사와 문화
집안 살림을 맡아하던 착한 딸 _5.18 민주유공자유족회
현대사와 10대 _고지훈
기철이의 하루 따라잡기 _오영진
세계를 깜짝 놀랜 한문책 한 권 _문화재청
영어에 주눅 든 한국인들 _홍세화
책읽기는 밥이다 _서재호

글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