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이 재밌어서 구입했는데, 내용도 신선하고 재밌습니다!생각해보면 국어도, 영어도, 과학도, 사회도. 학교 나와서도 조금씩 다 사용이 되잖아요? 그때 더 열심히 공부했으면 좋았을뻔했네..라는 생각도 들고요. 수학도 그런 것 같아요. 미분, 적분을 어디다 써. 라고 하지만, 이렇게 저렇게 생각해보고 풀어내는 능력은 다 수학문제를 풀던 경험속에 녹아있지 않았나요?일곱살 아이에게 구구단은 무리라고 생각해서, 가르쳐볼 생각도 하지 않았었는데.이 책을 읽다보니 구구단을 외우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구구단의 원리에 대해 이해하도록 도와주면 구구단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조금씩 숫자를 더 해나가서 만드는 규칙이야- 라고 설명해주었더니, 하루만에 9단까지 만들어내더군요. (외우는건 아니고요 ^^;) 9단까지 만드는 과정을 보니, 숫자를 더하는 과정이 무척이나 다양하다는 것도 아이와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십진법을 이용하지 않아도, 오진법을 이용해도 되고...등등) 재밌더라구요. 책에 나온 방법들을 다 시도해보진 못했지만쉬운 것부터 아이와, 조금씩 해보고 있습니다. 저희가 배웠던, 재미없는 수학 말고. 생각하는 수학. 생활속의 수학을 함께 하고싶은 분들께 추천해요!
교사들은 꿈조차 꿀 수 없는 장점을 ‘부모들’은 갖고 있다 아하! 를 외치는 일상 속 수학 게임그것은 바로 나란히 앉아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다. 이 책은 바로 이 시간, 엄마와 아이가 나란히 앉아 대화를 나누고 놀이를 하는 모든 시간을 ‘수학적 창의력’을 높이는 시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하고 있다. 수학을 잘 알지 못하더라도, 어린 시절 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던 경험이 끔찍했더라도, 수식만 보면 어질어질하더라도 아이들과 함께 수학을 제대로 배울 수 있다. 그것도 ‘놀면서’ 말이다.놀이와 퀴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제한’이 없다는 것이다. 정해진 답도 없고 규칙도 없다. 레고 조립, 종이 접기와 같은 아이들이 즐겨하는 놀이부터 간식 시간에 먹는 쿠키, 엄마와의 대화로도 수학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아이 스스로 놀이를 하면서 분수, 음수, 십진수, 미적분 심지어 기하학에 필요한 잠재적 바탕까지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자연스러운 놀이 속에서 수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엄마의 질문법’을 다루고 있다.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암기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지금까지 받은 교육 방식은 깨끗이 잊고 어른들이 먼저 수학 놀이를 즐기는 법을 배워야 한다.
추천 글
종이책을 출간하며
고마움을 전하며
1부 수학을 이해하는 법
0장 들어가며
1장 아하! 를 외치다
전통적인 수학교육의 문제 숫자 놀이 | 도형과 패턴 놀이 | 부모의 목적은 무엇인가? | 수학자처럼 수학하기
2장 수학자처럼 생각하기
당신의 수학관은 무엇인가? | 정말 차이가 있을까? | 수학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2부 재미있는 놀이 수학
3장 수학은 놀이다
수학은 사회적 놀이다 | 수학은 아름다운 예술이다 | 수학은 재미있는 게임이다
4장 수학은 체험이다
수학 교구란? | 집에서 만든 수학 교구 | 수 세기판 | 수직선 | 100 숫자판 | 재미있는 체험 놀이
5장 수학은 사유다
이야기형 문제 | 문장형 문제의 의의 | 문장형 문제의 언어 | 문장을 수학으로 바꾸기 | 막대 모형 다이어그램 | 연습해 보자 | 문장형 문제 해법 안내 | 가장 중요한 수학 교구 | 다시 도전!
3부 살아 있는 책으로 읽는 수학
6장 수학은 독서다
수학에 생기를 불어넣는 책 | 책으로 읽는 놀이 수학 | 수학책의 역사적 결함
7장 4천 년의 역사가 흐른다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 고대 중국 | 고대 그리스 | 고대 인도 | 아랍 제국 | 유럽의 회복기 | 수학의 빅뱅 시대 | 응용과 추상화
4부 생활 속 수학
8장 수학은 생활 속에 있다
진짜 수학을 위한 주간 계획 | 문제집 활용법 | 수학 파트너 구출작전 | 머리로 하는 수학 | 기본 수학 익힘
9장 수학과 씨름하다
부모는 평생 배워야 한다 | 초등 수학의 문제 | 중등 수학의 문제 | 대수학의 고통 | 학습 공백과 표준 시험
10장 고등학교 수학을 탐색하다
고급 수학의 핵심 | 고등학교 수학 온라인 자료 | 교재를 사용할 준비가 되었는가? | 추가 선택 사항
11장 결론: 수학과 더불어 성장하다
다치지 않게 부드럽게 출발하라 | 성숙해지면 상식이 된다 | 모든 것에서 이해를 꾀하라
부록: 문제 해답지
찾아보기